- 주요관광지
-
광주비엔날레
세계의 문화를 잇는 비엔날레
1995년 제 1회의 대주제는 ‘경계를 넘어서’였다.
당시 58개국 660명의 작가가 참여하고 1,288점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그리고 165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감으로서 광주의 문화역량을 널리 과시하기도 하였다.
1997년 제 2회의 대주제는 ‘지구의 여백'이다.
제 2회의 비엔날레는 지구촌 모든 사람들에게 마음의 여유와 남겨두어야 할 지구의 여백에 대한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200년 제 3회의 대주제로 설정된 人+問은 사람과 사이를 해체해서 재구성한 것이다.
인간과 사회, 인간과 성, 인간과 권력, 인간과 환경 등 종횡으로 걸쳐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인간이라는 본연의 문제로 돌아가 새 문화적 비전을 보여주자는 의도를 2000 광주비엔날레 주제는 담고 있다.무등산
세계의 문화를 잇는 비엔날레
광주시 동쪽 화수군과의 경계에 높이 1,197의 무등 산이 솟아있다.
이 산은 예부터 호남의 지난으로 알려진 명산으로 무진산, 무악, 서석산, 무정산, 무덤산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어왔다.
무등산의 무등은 불교의 ‘무유등등’ 즉, 부처님은 모든 중생과 같지 않다는데서 또는 ‘무등등’ 즉, 부처는 가장 높은 곳에 있어 견줄 것이 없다는 뜻에서 유래했다고도 하며 만인 평등을 뜻하는 무등에서 유래했다고 풀이하기도 한다.5.18 묘역
5.18 묘역 민주화의 성지위치 북구 운정동/266-5187 시설내용 민주의문, 추념문, 역사의문, 숭모루, 유영봉안소, 휴게실, 관리동 참배시간 하절기 09:00~18:00
동절기 09:00~01:00주차시설 300여대 이상 수용가능 교통 시내버스 25-2(광천터미널, 도청경유 38분 간격) 25, 25-1, 102, 103, 105 (묘지입구) 도보로 15분거리 가사문화권
소쇄원 | 조선 중기 정원 문화의 백미위치 담양군 남면 지곡리 지석마을 연락처 0694-382-9306 매력포인트 우리나라 정원 문화의 최고봉, 원림건축의 백미 사적제 304호, 일요일 오후 2시 양산보 15대후손이 설명 이용시간 일출~일몰 교통 버스-서방시장(광주역에서 택시요금 2,000원 거리)에서 125번, 8번 승차, 담양군에서는 버스 225번과 125번 두대가 소쇄원 앞을 지나감 주변명소 식영정, 환벽당 등의 정자 들과 젙통찻집이었다. 면앙정
면앙정 | 송순 명앙정가의 산실위치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 망정마을 연락처 0684-380-3244 매력포인트 조선조의 송순, 정철 등 유명한 선비들의 시/학문 전당 기념물 제 6호 이용시간 일출~일몰 교통 102번 담양읍내, 고서사거리에서 택시(소요시간 : 10분) 주변명소 승용차로 5분거리에서 송강정이 위치 하늘을 우러러보고 땅을 굽어 봐도 부끄럼없이 살려는 의미가 담긴 정자이다. 환벽당
환벽당 | 송강정철이 후학양성에 힘을 쏟은 곳위치 북구 충효동 387 연락처 충효동 동사무소 266-2351 매력포인트 송강 정철과 김덕령의 발자취가 어린 환벽당, 송시열과 석천 임억령, 조자이의 시가 현판으로 걸려있다. 의의 기념물 제 1호 (1972년 1월 29일 지정) 이용시간 일출~일몰 교통 소쇄원편 참조 주변명소 인근에 취가정, 독수정, 소쇄원이 자리잡고 있다. 송강정
송강정 | 정철문학의 산실위치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산1 연락처 담양군청 0684-380-3244 매력포인트 사미인곡와 속미인곡의 산실, 주변의 울창한 송림 의의 도 기념물제 1호 이용시간 일출~일몰 교통 버스 26번 종점 광주댐에서 승용차로 10분 소요(고서 삼거리에서 담양읍 방향으로 5분정도 지나면 좌측 위치) 주변명소 면앙정(승용차로 5분거리) 관람 후 담양읍으로 나가 숯불갈비(10여개의 갈비 전문식당)을 즐길 수 있다. 취가정
취가정 | 김덕령 장군이 억울함을 하소연 한 곳위치 북구 충효동 연락처 동사무소 266-2351 주변명소 광주호 충효동 광주호 옆 성안마을 뒷동산 동쪽에 있는 정자다. 식영정
식영정 | 송강문학의 산실위치 담양군 남면 지곡리 성산마을 연락처 0684-380-3244 매력포인트 문화재자료 제1호 의의 성산별곡의 산실 이용시간 일출~일몰 교통 서방시장에서 125본 승차 (80분 배차 간격) 광주호 주변 충효동 하차 주변명소 광주호, 부용당 독수정
독수정 | 전신민의 충절이 생생한 정자위치 담양군 남면 연천리 산91 연락처 담양군청 1684-380-3244 매력포인트 전라남도 최초의 산정, 기념물 제 61호 노거수 원림 사이에 위치하여 명상하기 좋은 곳 의의 성산별곡의 산실 이용시간 일출~일몰 교통 서방시장에서 125번 승차, 종점에서 하차 후 소쇄원에서 화순방향으로 5분(승용차)정도 주변명소 노거수 원림 독수정은 광주호의 가장 상류에 있는 정자로 서은 전신민이 은거생활을 했던 정자이다. 순천 정원박람회
명칭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기간 2013.4.20~10.20 주제 지구의 정원, 순천만 부제 자연과 인간, 지역과 세계, 나눔과 누림 이용시간 산림청 미션&비전 : 쾌적한 녹색공간, 건강한 국토환경, 가치있는 국가자원 목포 유달산공원
노령산맥의 큰 줄기가 무안반도 남단에 이르러 마지막 용솟음을 한 곳, 유달산은 면적 140ha, 높이 228.3로 그리 높지는 않지만 노령산맥의 맨 마지막 봉우리이자 다도해로 이어지는 서남단의 땅끝인 산이다.
유달산은 예부터 영혼이 거쳐가는 곳이라 하여 영달산이라 불리었으며 도심 속에 우뚝 솟아 목포시와 다도해를 한눈에 굽어보며 이곳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예혼을 일깨우고 있다.
“호남의 개골”이라고도 하는 유달산에는 대학루, 달성각, 유선각 등등의 5개의 정자가 자리하고 있으며 산 아래에는 가수 이난영이 부른 ‘목포의 눈물’ 기념비 등이 있다.
1982년 발족된 추진위원회의 범시민적인 유달산 공원화 사업으로 조각작품 41점이 전시된 조각공원과 난공원 등이 조성되어 볼거리가 많으며 산 주변에 개통된 2.7km의 유달산 일주도로를 타고 달리며 목포시가와 다도해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